회사 생활을 하다보면,,? 아니 회사생활 시작하면서 바로 시작되는 타부서와의 업무협의.
본 부서 업무 외적으로 타부서의 요청에 의한 업무도 자기 본업에 비하면 사소하지만,
안해도 되는? 혹은 예상치 못한 업무이기 때문에 요청시에 많이 조심스러울 수 있다(아무리 친해도 말이다.)
타부서에 동갑친구 혹은 자주 어울리는 직장동료가 있다면, 업무검토의뢰서 같은 딱딱한 양식서를 쓰지 않아도 되는 경우가 많으나,
타부서에 계시는(?) 타상사(?)분들의 눈총이 간혹간혹(카카오해라..) 보인다.
허째뜬~
업무검토의뢰서라 함은, 타부서 요청을 위해 자신의 상사에게 의견을 구하고, 결재 후 업무 협조를 구하는 양식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1. 중요하다 제목
용두사미(?)라고 했던가. 간단하고 명료하지만 '요청의 건', '협조의 건' 과 같은 사소한 단어를 잘 써주어야,
결재를 통해 타부서에 요청하는 상사나, 요청받는 부서의 장들도 보기가 좋고 토를 안달기에 붙여줘야한다.
(더 잘 도와주기를 바라진 말고, 궁시렁 안하는 것에 만족하자)
일단 제목을 잘쓰면 그다음엔 쉽다.
https://blog.naver.com/tjdcjs9772/221797664384
지난 번에 포스팅한 기안서(품의문서) 양식과 동일하게 제목을 써주고 업무검토를 요청한다.
예시)
제품상세 사양 확인 요청의 건
제목의 건으로 하기와 같이 상세 사양 확인을 요청드리오니, 업무검토 후 재가해주시기 바랍니다.
- 아 래 -
요롷게 써주면 1단계가 끝난다.
2. 써보자, 시킬 일(?)
내가 필요한 일이고, 상대방에게 요청할 일이라면, 이리 애둘르고 저리 애둘러서, 곱게 표현하는 것도 좋지만,
딱딱 업무에 맞게 정확하게 표현하여 일을 주문하는게 쁘로빠셔날하고, 바쁜사람 두번 일 시키지 않는 좋은 방법이다.
발생하게 된 경위를 확실하게 써주고, 그것에 대한 목적, 그리고 요청부서, 요청 사항을 정확히 기입해주는 것이 좋다.
예시)
1. 경위
- 제품 카다로그 제작 중 해당 제품 스펙 오류 1건 발견
- 오류 수정 검토에서 추가적인 사항 발생
2. 목적
- 제품 카달로그의 정확한 스펙 전달로 고객 신뢰성 확보
- 정보 오류 수정으로 차년도 데이터 신뢰성 확보
3. 요청부서
- 연구소 개발팀
4. 요청사항
- A 제품 폭, 깊이, 상세스펙 재 확인.
- B 제품 비교 결과값 재확인
- 타사 제품군과 비교 결과 값 확인
*첨부파일 확인
이런식으로 작성하고, 요청사항에서 글로 표시하기 애매한 부분이 발생할 경우에는 첨부파일 안에,
그림으로 표현되거나 표시된 파일을 넣어주면 이해가 빠르다.
3. 마무리
용두사미라고 했는데, 뱀의 꼬리가 또 얼마나 아름다운가~ 미끌매끌하니(본인은 뱀 별로 안좋아함)
뱀의 꼬리가 물 흐르듯 자연스럽게 마무리 되는 것도 중요하다.
바로 들어가보자.
5. 기타사항
- 바쁘신와중에 업무협조 감사드립니다.
- 해당 업무 완료일자 전달의견으로 전달 부탁드리겠습니다.
- 부서장님께서는 부서원들에게 전달 부탁드립니다.
- 문의사항은 시흥사원(내선번호 123)으로 문의부탁드립니다.
와 같이 써주면 된다.
모든 포인트가 살아있다고 보면 된다.
1. 바쁜와중에 내 일을 도와줘서 고맙고,
2. 내가 부탁하는 마당에 며칠까지 하라고는 못하니, 언제쯤 될지 알려만 달라,
3. 부서장의 경우 내가 신경 못쓴 연관부서가 있다면, 전달해달라,
4. 그래도 궁금한 경우 내 전화번호 여깃다(툭)
어렵지 않다. 한번 합쳐보자.
제목 : 제품상세 사양 확인 요청의 건
제목의 건으로 하기와 같이 상세 사양 확인을 요청드리오니, 업무검토 후 재가해주시기 바랍니다.
- 아 래 -
1. 경위
- 제품 카다로그 제작 중 해당 제품 스펙 오류 1건 발견
- 오류 수정 검토에서 추가적인 사항 발생
2. 목적
- 제품 카달로그의 정확한 스펙 전달로 고객 신뢰성 확보
- 정보 오류 수정으로 차년도 데이터 신뢰성 확보
3. 요청부서
- 연구소 개발팀
4. 요청사항
- A 제품 폭, 깊이, 상세스펙 재 확인.
- B 제품 비교 결과값 재확인
- 타사 제품군과 비교 결과 값 확인
*첨부파일 확인
5. 기타사항
- 바쁘신와중에 업무협조 감사드립니다.
- 해당 업무 완료일자 전달의견으로 전달 부탁드리겠습니다.
- 부서장님께서는 부서원들에게 전달 부탁드립니다.
- 문의사항은 시흥사원(내선번호 123)으로 문의부탁드립니다.
- 이 상 -
이렇게 쓰면 될 것이다.
뭔가 부족해보이는가?
4번의 요청사항을 표로 정리해서 있어보이게 그려보자.
(물론 당신이)
그럼 20000.
'정보공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문법/ 맞춤법 검사기[작업꿀팁] (0) | 2020.02.19 |
---|---|
픽셀 센치 간단하게 계산하기 (0) | 2020.02.17 |
일러스트레이션 팁[끄기/켜기] (0) | 2020.02.10 |
기안서(품의문서) 양식 (0) | 2020.02.05 |
일러스트 자주쓰는 단축키 정리[시흥사람기준] (0) | 2020.02.04 |